Surprise Me!

[아는 기자]尹 대통령, ‘중대선거구제’ 언급 이유는?

2023-01-02 26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아는 기자, 아자 시작합니다. 정치부 김철중 기자 나왔습니다 <br><br>Q. 김 기자, 총선 판도가 달라질 수 있는 선거구제 개편, 윤석열 대통령이 중대선거구제를 꺼내들었어요. 어떻게 달라지는 건가요? <br><br>네, 핵심만 말하면 선거에서 1등을 하지 않아도 국회의원이 될 수 있게 됩니다. <br> <br>선거구제 개념부터 간단히 설명드리면요. <br><br>현재 국회의원을 뽑는 소선거구제는 같은 구라도 유권자 수에 따라 갑을병 이렇게 쪼갠 뒤 각각 1등 1명만 뽑는 구조죠. <br> <br>하지만 중대선거구제는 지역별로 쪼개지 않고, 한 데 묶어서 투표를 하고요. <br> <br>대신 1등부터 3등까지 당선되는 겁니다.<br><br>Q. 대통령은 이걸 왜 하자는 거에요? <br><br>대통령 뿐 아니라 정치 개혁의 일환으로 거론되기도 하는데요. <br> <br>승자독식 구조를 깰 수 있다는 게 가장 큰 이유입니다. <br> <br>쉽게 예를 들어보겠습니다. <br><br>현재 선거 제도에서는 한 지역구 선거에서 A후보가 46%, B후보가 45%를 득표했다고 했을 때요. <br> <br>단 1%포인트 차이인데, A후보만 당선되고, B후보를 비롯해 다른 사람을 찍은 54%의 유권자의 뜻은 묻혀버리는 거죠. <br> <br>그런데 만약 2등까지 뽑아준다면 90% 이상의 표심이 선거 결과에 반영되는 셈입니다.<br> <br>지역주의 타파에 도움이 된다는 주장도 있습니다. <br> <br>실제 지난 지방선거 당시 시범적으로 일부 지역에서 한 선거구 당 기초의원을 3~5명까지 뽑는 방식을 도입했는데요. <br> <br>광주에서는 진보정당이, 영남에서는 민주당이 추가로 당선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><br>Q. 그렇게 좋은 거면 왜 지금까지 안 한 거에요? <br><br>장점 만큼 단점도 명확합니다. <br> <br>사표는 줄일 수 있지만, 반대로 10% 미만의 낮은 득표를 한 후보도 2~3등 안에 들면 당선될 수 있어 당선자의 대표성을 두고 논란이 제기될 수 있습니다. <br> <br>한 정당이 같은 지역구안에 복수의 후보를 공천하기 때문에 당내 경쟁이 과열될 수도 있는데요. <br> <br>실제 일본에서는 파벌정치, 계파정치의 부작용으로 1990년대 후반부터 다시 소선거구제로 바꿨습니다. <br><br>Q. 여야가 유불리를 따지겠죠. 누구에게 유리한 건가요. <br><br>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일방적으로 한쪽이 유리한 건 아니고요.<br> <br>대신 지역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. <br> <br>수도권에서는 국민의힘이 유리할 수 있는데요. <br><br>지난 총선 기준으로 보면요. <br> <br>수도권에서 민주당이 103석, 국민의힘 전신인 미래통합당이 16석, 민주당이 압승을 거뒀죠. <br> <br>하지만 실제 득표율은 민주당과 미래통합당이 12%포인트 밖에 차이가 나지 않았습니다<br> <br>당시 미래통합당 후보가 천 표 이내로 아깝게 진 지역도 많았는데, 중대선거구제 도입되면 2등도 당선이 될 수 있는 거죠. <br> <br>반대로 영남이나 강원 지역에선 2등으로 떨어진 후보가 많은 민주당이 득을 볼 수 있습니다. <br><br>Q. 실제로 도입될 가능성이 있을까요? 어차피 대통령이 하는 건 아니잖아요? <br><br>네, 국회가 할 일이죠. <br> <br>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에서 다음달 중순까지 초안을 만들고, 총선 1년 전인 3월 말까지 확정하겠다는 게 김진표 국회의장의 생각인데요. <br> <br>하지만 여야 지도부 모두 쉽지 않다고 보는 이유, 이해관계가 얽혀있는 현역 의원들의 강력한 반발 때문입니다. <br> <br>총선 전 인구 변화를 감안해 선거구를 조정할 때마다 사라지는 지역구 의원들이 강력 반발하는 장면, 기억하실 겁니다. <br> <br>[여상규 / 당시 새누리당 의원(지난 2012년)] <br>(비공개회의로 가격됐음을 선포합니다.) 공개하십시오. 떳떳하게. (탁탁탁) 공개 못할 이유가 없잖아요. <br> <br>민주당은 중대선거구제 말고 비례의원 수를 늘리자 이런 의견도 나옵니다. <br><br>Q. 현역 의원들은 뭐든 지금이 제일 좋은거죠. 그런데 이거 한다고 국회의원을 늘리진 않겠죠? <br><br>네, 기존 지역구 여러 개를 합친 뒤 거기에서 2~3명을 뽑는 것이라 전체 의원수는 차이가 없습니다. <br><br>서로 자기 지역구 손해보기 싫으면 전체 수를 늘리는 걸로 합의볼 수도 있으니 잘 봐야할 것 같아요. 아는기자 김철중 기자였습니다.

Buy Now on CodeCanyon